본문 바로가기
지식공간

모든 학문의 기원, 아리스토텔레스

by 긍정의 구슬 2023. 6. 12.

아리스토텔레스

 

1.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업적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과학과 논리학등 여러 가지 분야의 학문에 많은 기여를 했다. 트라키아출생으로 플라톤이 설립한 아카데미를 수료하고 알렉산더 대왕의 가정교사를 했다. 기원전 33년 자신의 학교를 리케이온에 세웠고 소요학파의 기원이 되었다. 플라톤의 이데아를 비판했지만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관념론과 유물론사이에서 갈등했다.

그의 학문을 살펴보면 이론학으로 철학과 수학, 자연학을 연구했고 인간의 활동에 대한 학문으로 윤리, 경제, 정치학까지 연구대상이었다. 창조학으로 시나 예술이 포함되었다. 철학은 후에 형이상학으로 발전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물질의 생성조건으로 질료, 형상, 운동, 목적 등 네 가지를 꼽았다. 존재는 결국 질료와 형상의 결합이며 진화 발전하는 것으로 보았다. 움직이지 않는 최초의 것으로 신을 내세웠다. 자연을 거론할 때 유물론적 색채가 가득하며 그가 주장한 것은 천동설이었다.윤리학에서는 관조를 정신활동의 최고라고 여겼고 사회학에서는 노예제를 자연에 기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가권력은 사회전체의 이익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연구했던 학문중에 논리학이 있다. 논리학은 우리 안에 있는 생각, 즉 사유를 다루고 있다. 마음을 다루는 심리학이 있지만 심리학은 우리 마음의 흐름을 다루는 데 비해 논리학은 우리 생각이 올바른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는 그가 아테네에서 추방당하면서 대부분 사라졌다. 다행스럽게 남아있는 저서들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기록한 노트와 미완성작으로 남은 저서들이다. 이 저서들은 독자들과 소통을 위한 것이 아니므로 일일이 해석해서 유추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2.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차이점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관념론에서 벗어나 경험과 관찰을 바탕으로 하는 현실적인 탐구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를 통해 관념에서 벗어난 과학적 방법론과 논리학 등 실증적 학문으로 성장할수 있었다. 이전의 철학자들은 하지 못했던 실증학문을 처음으로 집대성했다는 점이 이채롭다.

경험론으로 보는 자연관을 강조한 아리스토텔레스는 무엇보다도 생물학 분야에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는 동물을 해부해서 생물학에 대한 지식을 얻었고 그 당시 물고기와 동일하게 분류했던 고래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생물학에 열정을 가진 이유는 사물의 형상과 그 목적을 밝혀내는데 살아있는 생물이 유용한 실험물이었기 때문이다.

유난히 존재의 목적론을 강조했던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연에 입각한 세계관을 가진 학자들이 주장했던 자연의 무질서를 반박하고 조화와 질서를 자연의 실체로 규정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는 우연이 아니라 각자의 목표를 향해 발전하는 목적의 세계이며, 질서 있고 조직화된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물이 육체와 정신으로 구성돼 있고, 육체는 질료, 정신은 형상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그의 정신에 관한 설명은 인류의 존재를 정립하는 근본이 됐다. 그는 정신에 대해 동·식물과 인간을 다르게 보았다. 인간의 정신을 특히 이성적 정신으로 분류해 최고의 자리에 올려놓았다.

 

 

3.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그의 아들이름과 아버지 이름이 모두 니코마코스였는데 그래서 책의 이름을 이렇게 지었는지 모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행복해지려면 덕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덕은 지성적 덕과 윤리적 덕으로 나눈다. 지성적 덕은 교육을 통해서 익히고 윤리적 덕은 습관을 통해서 얻는다고 했다. 지성은 사물을 이해하는 지혜 판단하는 사려가 있고 윤리적으로는 효도와 우정같은 것이 있다.

우애가 있다면 정의는 필요 없다고 역설했다. 하지만 정의로운 사람도 우애는 필요하다고 했다.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 우애(필리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플라톤의 에로스는 이기적인 사랑이지만 필리아는 서로가 행복해지기를 바라는 사랑이다.

필리아와 더불어 공동체를 가능하게 하는 덕으로 정의가 있다. 크게 전체적 정의와 부분적 정의로 나눈다. 전체적 정의는 거짓말이나 도둑질, 폭력에 대해 거부하는 것이다. 부분적 정의는 노동량에 따라 적당하게 배분하는 정의를 말하고 죄인에게는 벌을, 피해자에게는 보상하는 것을 뜻한다.